현대물리학 test(실험) - 전자 원자와 미세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5:25본문
Download : 현대물리학 실험 - 전자 원자와 미세.hwp
가. He 스펙트럼을 써서 분광계를 교정하고 회절격자의 격자상수를 구한다. 격자의 위치를 잡을 때 회절격자와 각에 따라 색의 위치를 보고 잡았다.
이 실험에서는 입사광원을 가늘게 해야만 2차 스펙트럼의 D-LINE을 측정(測定) 할 수 있었다.
Download : 현대물리학 실험 - 전자 원자와 미세.hwp( 45 )
2. 원리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잘 알려진 He 스펙트럼선을 이용하여 회절격자 분광계를 교정한 후 Na 스펙트럼선의 파장을 구한 다음 미세구조 splitting을 구한다.
현대물리학 test(실험) - 전자 원자와 미세구조





따라서 ,
각을 정할 때, 색깔이 명확히 보이지 않아서 실험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2차 스펙트럼에서 Na D-LINE의 짧은 파장 쪽을 측정(測定) 하는 각도와 2차 스펙트럼에서 Na D-LINE의 긴 파장 쪽을 측정(測定) 하는 각도의 차가 0.1°의 차이보다 미세하다는 것은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였지만 분광계의 각도계는 0.1°이하의 미세한 각은 측정(測定) 할 수 없었다.
6. 결과 및 토의
현대물리학 실험,전자 원자와 미세구조
1. 실험목적 가. He 스펙트럼을 써서 분광계를 교정하고 회절격자의 격자상수를 구한다.
짧은 쪽 파장 회절 각 : 40.2 긴 쪽 파장 회절 각 : 40.3
설명
yellow D-line의 분리는 1차 스펙트럼에서는 잘 분리되지 않으므로 회절격자의 중심으로부터 더 벌어진 2차 스펙트럼에서 관측되었다.
순서
짧은 쪽 파장 : 긴 쪽 파장 :
의 차이가 있었다. 나. Na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미세구조 splitting을 구한다. 광원(He램프 ,Na램프)의 위치에 따라 빛이 들어오는 각이 달라져서 휘어지는 각과 빛의 굵기가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최대한 광원이 입사하는 각이 수직하게 광원을 조정하였다.
1. test(실험) 목적
나. Na 스펙트럼을 결정하고 미세구조 splitting을 구한다.
3). yellow D-line의 스펙트럼
이다 따라서 이다. 2. 원리 잘 알려진 He 스펙트럼선을 이용하여 회절격자 분광계를 교정한 후 Na 스펙트럼선의 파장을 구한 다음 미세구조 splitting을 구한다. 특히 빨강색에 오차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빨강색 선이 제일 많이 보였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