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 보는 우리의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14:26
본문
Download :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 보는 우리의 교육.hwp
그러나 생활조건이 변함에 따라 이러한 교육과정이 쓸모가 없어지고 몇몇 진보적인 사람들은 새로운 environment(환경) 에 대한 지식을 개발하고 보급했다. 이 책의 나머지 부분에서도 새주먹처럼 진보적인 사람들에 의해 교육에 대한 반성과 방향 수정이 시도되는데 모든일이 그렇듯 교육 또한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자세에서 출발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있었다. ‘현장 교육에서의 적용‘이라는 교육과定義(정이) 추가로 대응하는 것이 옳았을 것이다. 최초의 교육학 theory(이론)가이자 실천가인 새주먹은 아이들에게 의식주와 안전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도록 가르친다면 부족이 더 나은 생활을 영위할 것이라는 교육 목표(goal) 아래 맨손으로 물고기 잡기등의 세가지 교육과정을 만든다. 이에 대한 부족민들의 비판을 원로들은 잘못된 방식으로 대응하는데 즉, 교육학을 더 세분화하고 현실과 상관없게 만든다. 나도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나 그것이 교육과정이 항상 불변해야함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존의 학교에서 실생활에 필요없는 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부족민들이 항의하자 원로들은 교육이란 시간을 초월한 영원한 영원한 진리라는 말을 한다.
이 책은 구석기 시대의 인류가 처음 교육을 실시하면서부터 그 변천 과정을 페리웰 교수의 강의 형식을 빌어서 제시하고 있다아 이는 우리의 교육과정 변천사를 비유하고 있기도 하다. . 변치않는 진리는 실생활과 관련된 다른 교육과정으로도 얼마든지 달성될 수 있으며 오히려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구석기 시대의 원로들은 예비교사에게 지도의 원리, 일반적 방법만을 교육시켜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은 부족하게 했다. 인류가 변치않고 보존해야할 것들은 그들이 전통적 교육과정을 통해 길러온 민첩성, 힘의 개발, 용기를 기르는 것이지 맨손으로 물고기 잡기와 같은 교육과정 자체가 아닐것이다. 이 장을 읽으면서 나는 우리나라의 교사 양성체계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우리의 교사 양성 체제도 실제 교실 상황에서의 실습과 적용보다는 theory(이론)적이고 복잡한 지식의 교육에 더 치우쳐 있는…(省略)
Download :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 보는 우리의 교육.hwp( 12 )
검치호랑이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 보는 우리의 교육
레포트/사범교육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이라는 책을 통해 우리의 주입식 교육과정이 왜 잘못된 것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범교육,레포트
설명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이라는 책을 통해 우리의 주입식 교육과정이 왜 잘못된 것인지 생각해 보았습니다.검치호랑이 , 검치 호랑이 교육과정을 통해 보는 우리의 교육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