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4:56본문
Download :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hwp
내 과의 관절 면은 시상 면과 관상 면에서 모두 오목하며 외 과보다 크다. 이 때문에 횡 골절이 있으면 상부 골편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무혈성 괴사가 올 수 있다.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 방법,슬관절
슬개골의 기능은 신전 기능에 대한 기여, 대퇴 관절 연골의 영양공급, 손상 시 대퇴 과의 보호 등이다. 슬관절이 완전 굴곡되면 부대 소관절면이 대퇴 내 과의 외측의 반월형 관절 면에 닿는다. 이들 혈관은 두 개의 군을 만드는데, 첫째, 슬개골 중앙 혈관 군으로 전면 1/3부분에 위치하며 아래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히 주입된다 또 하나는 슬개 건과 관절 면 사이의 첨단 혈관 군이며 슬개골 하단 1/3을 공급하고 중앙 혈관 군과 문합한다. 신전하면 점차 근위, 중간, 원위부로 접촉 관절면이 이행한다. 타원형의 관절면은 대퇴골 과의 관절면과 접하여 7개의 소관절면으로 나뉜다.
신전 조직이 어느 정도 손상되어도 신전 지대가 유지되면 능동 신전이 가능하다. 슬관절이 완전 굴곡되면 부대 소관절면이 대퇴 내 과의 외측의 반월형 관절 면에 닿는다.
설명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9235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C%8A%AC%EA%B4%80%EC%A0%88%20%EC%A3%BC%EB%B3%80%EC%9D%98%20%EC%86%90%EC%83%81%EA%B3%BC%20%EC%B9%98%EB%A3%8C-9235_01.jpg)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9235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C%8A%AC%EA%B4%80%EC%A0%88%20%EC%A3%BC%EB%B3%80%EC%9D%98%20%EC%86%90%EC%83%81%EA%B3%BC%20%EC%B9%98%EB%A3%8C-9235_02_.jpg)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9235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C%8A%AC%EA%B4%80%EC%A0%88%20%EC%A3%BC%EB%B3%80%EC%9D%98%20%EC%86%90%EC%83%81%EA%B3%BC%20%EC%B9%98%EB%A3%8C-9235_03_.jpg)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9235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C%8A%AC%EA%B4%80%EC%A0%88%20%EC%A3%BC%EB%B3%80%EC%9D%98%20%EC%86%90%EC%83%81%EA%B3%BC%20%EC%B9%98%EB%A3%8C-9235_04_.jpg)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9235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98%ED%95%99%5D%20%EC%8A%AC%EA%B4%80%EC%A0%88%20%EC%A3%BC%EB%B3%80%EC%9D%98%20%EC%86%90%EC%83%81%EA%B3%BC%20%EC%B9%98%EB%A3%8C-9235_05_.jpg)
레포트 > 의학계열
대퇴 사두근에 부하되는 장력은 슬관절 굴곡에 다라 증가하여 체중의 6~7배에 달한다. 신전하면 점차 근위, 중간, 원위부로 접촉 관절면이 이행한다. 전하부에 첨부가 있어 전면이 후방보다 길다. 슬개대퇴간 압력도 굴곡 정도에 따라 변하여 평지를 걸으면 체중의 약 0.5배, 층계를 오르면 약 3.3배, 쪼그려 앉으면 약 7.6배까지 증가한다. 대퇴 사두근의 건 섬유가 연장되어 슬개골을 거쳐 슬개건과 연결되어 경골 결절에 부착한다.
슬개골의 혈액 공급은 상 슬 동맥, 내측 상 슬 동맥, 내측 하 슬 동맥, 외측 상 슬 동맥, 외측 하 슬 동맥, 전방 경골 회기 동맥등이 주위에 고리를 형성하며 이루어진다. 외과의 관절 면은 시상 면에서 불룩하고 관상 면에서 오목하여 안장 형태이다.
슬개골은 대퇴 사두근의 건 내에 위치한, 삼각형의 골로서 인체에서 가장 큰 종자골이다.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 방법
순서
2) 경골과 골절(fracture of the Tibial condyle)
슬개골은 대퇴 사두근의 건 내에 위치한, 삼각형의 골로서 인체에서 가장 큰 종자골이다.
경골 근위부는 간부로부터 과하부를 거쳐 점차 확대되며 후외측에서 비골 근위부와 관절을 이룬다. 전하부에 첨부가 있어 전면이 후방보다 길다. 근위단 전체가 뒤로 돌출되어 있고 관절 면은 수평으로부터 7~22도, 평균 14도 후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중심부 연골의 두께는 약 2.5mm이다. 연골의 두께는 약 4mm이다. 타원형의 관절면은 대퇴골 과의 관절면과 접하여 7개의 소관절면으로 나뉜다. 대퇴 사두근의 건 섬유가 연장되어 슬개골을 거쳐 슬개건과 연결되어 경골 결절에 부착한다.
Download : [의학] 슬관절 주변의 손상과 치료.hwp( 63 )
다. 상단 면에는 내, 외 과로 불리는 관절 면이 있으며 그 사이에 관절 면이 아닌 과한 융기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