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농기구(쇠스랑.도리깨,호미.낫.쟁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18:15
본문
Download : 한국의 농기구(쇠스랑도리깨,호미낫쟁기).hwp
한편 낮은 곳의 물을 대기 위하여 두레, 용두레, 맞두레, 물풍구, 무자위, 홈통 등 인위적인 기구에 의한 관개사업도 꾸준히 진행되었다.
물을 푸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어온 연장은 맞두레와 용두레였다. 민간에서는 흐르는 물을 가로막아서 물을 대는 방법인 보 (洑)를 많이 이용하였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관개사업(灌漑事業)의 일환으로 김제의 벽골지(碧骨池)나 제천의 의림지(義 林池) 의성의 대제지(大提池), 상주의 공검지(恭儉池), 밀양의 수산제(守山提) 등의 저수지 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만들었다. 그러나 요즘에는 이러한 기구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동력양수기가 이 를 대신하고 있다
3.가래질
가래는 흙을 옮기거나 도랑을 치고 논둑을 깎을 때 쓰는 농기…(생략(省略))
한국의농기구쇠스랑[1].도리깨호미.낫.쟁기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다. 맞두레는두 사람이 마주 서서 두레를 잡고 물을 푸 는 것이고, 용두레는 긴 장대로 삼각대를 설치한 후 그 꼭지에 두레를 매달아서 한 사람이 물을 푸는 것이다.,자연과학,레포트
설명
한국의농기구쇠스랑[1].도리깨호미.낫.쟁기 , 한국의 농기구(쇠스랑.도리깨,호미.낫.쟁기)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한국의 농기구(쇠스랑도리깨,호미낫쟁기).hwp( 16 )
레포트/자연과학
한국의 농기구(쇠스랑.도리깨,호미.낫.쟁기)
수도작(水稻作)에 있어서 물은 농작물의 생리작용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보온, 잡초 억제 양분 공급, 병충해 방제, 간척지의 염분제거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