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학의 소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5 03:57
본문
Download : 면역학의 소개.hwp
원칙적으로 단백질, 지방, 핵산, 탄수화물 그리고 수많은 화학물질등 거의 모든 물질이 항원이 될 수 있으며, 이런 모든 종류의 항원에 대하여 항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항원이 언제나 스스로 면역reaction response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항체는 단지 항원과 결합하기만 하며, 그 결과 항원…(skip)
항원 (antigen)과 항체 (antibody) 일반적으로 항원은 항체와 결합하는 물질로서, 항체의 생산을 유도한 물질로 알려져 있... , 면역학의 소개의약보건레포트 ,
다. B 임프구의 표면에 있는 면역글로부린은 B 임프구 클론마다 한가지 종류 밖에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항원에 의하여 일부의 B 임프구 클론들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항체가 만들어진다. 항체는 원래 B 임프구의 표면에 있던 면역글로부린 (immunoglobulin, Ig)이며, B 임프구에서 항원수용체의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다.
설명
면역학의 소개






,의약보건,레포트
일반적으로 항원은 항체와 결합하는 물질로서, 항체의 생산을 유도한 물질로 알려져 있...
Download : 면역학의 소개.hwp( 71 )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항원 (antigen)과 항체 (antibody)
항원 (antigen)과 항체 (antibody)
일반적으로 항원은 항체와 결합하는 물질로서, 항체의 생산을 유도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떤 항원은 항체가 아닌 다른 종류의 면역reaction response을 유도하는 것도 있으므로, 엄밀하게 말하면 면역reaction response을 유도하게한 물질을 항원이라고 보면 된다된다. 일부의 항원은 항체와 결합할 수는 있지만, 그 항원 자체만 가지고는 스스로 항체 생산을 유도할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항원을 일반적으로 합텐 (hapten)이라고 부르는 데, 이들은 단백질에 결합하여 자신에 대한 항체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스로 면역reaction response을 유도할 수 없는 항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항원과 구별하기 위하여 다른 물질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면역reaction response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을 면역원 (immunogen)이라고 부른다. B 임프구 표면에 있던 면역글로부린이 항원의 자극으로 인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된 형태를 항체라고 부른다. 현재, 항원이라는 말은 항체와 결합하는 물질만 말하는 것이아니라 T 임파구와 reaction response하는 물질도 항원이라고 부른다.
항체 (antibody)는 항원과 결합하는 단백질을 말하며, 주로 혈액에 많이 존재하고, 체액이나 조직에도 존재하며, 심지어 조직 밖으로 분비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