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이행의 항변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8:58
본문
Download : 동시이행의 항변권_5063934.hwp
즉, 쌍방이 서로 채무를 지더라도 그 채무가 다른 법률상의 原因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채무자 이외의 자에 의해 이행불능이 된 경우에는 대가관계가 없어지게 되어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소멸하게 된다된다.
[판례]
1) 부동산의 매매에 있어서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그 매수인의 잔대금지급의무와 매도인의 그 소유권이전등기 절차이행의무는 상호 동시이행관계에 있고 그 명도의 의무는 계약 등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동시이행관계에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1)
2) 근저당권설정등기…(skip)
다. 채무자의 귀책사유로 인해 이행불능이 된 경우 그에 대한 손해배상의무는 발생原因이 동일하다고 보아 동시이행 항변권을 인정한다.
동시이행의 항변권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동시이행의항변권1
Download : 동시이행의 항변권_5063934.hwp( 57 )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동시이행의항변권1 , 동시이행의 항변권법학행정레포트 ,
Ⅰ. 동시이행의 항변권..............................................................2
1. 동시이행 항변권의 개관................................................................2
2. 동시이행 항변권의 의의................................................................2
Ⅱ. 동시이행 항변권의 성립요건.................................................3
1. 쌍방의 채무가 동일한 쌍무계약으로부터 발생할 것...............................3
2. 자기 채무의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을 하지 않고 이행청구 할 것.............3
3. 쌍방의 채무가 변제기에 있을 것......................................................4
Ⅲ. 동시이행 항변권의 효력......................................................4
1. 이행거절의 항변권.......................................................................4
2. 소송상의 효력............................................................................4
3. 항변권 존재의 효력 ....................................................................4
Ⅳ. 동시이행 항변권의 확장......................................................5
1.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비쌍무계약에 확장하기 위한 요건.........................5
2. 법률에 의한 동시이행의 항변권의 준용규정........................................5
3. 판례나 학설에 의한 적용...............................................................6
Ⅴ. 동시이행 항변권과 불안의 항변권..........................................6
Ⅱ. 동시이행 항변권의 성립요건
1. 쌍방의 채무가 동일한 쌍무계약으로부터 발생할 것 (대가적 의미있는 채무의 존재)
동일한 쌍무계약에 의하여 당사자 쌍방이 서로 대가적 의미 있는 채무를 부담하고 있어야 한다. 즉, 매매계약의 해제로 인해 발생한 손해배상의무도 동일하게 동시이행항변권을 인정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