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함 /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2:57
본문
Download :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함.hwp
≪正韻≫에 대한 설명 및 ≪正韻≫과 ≪擧要≫의 체제는 권혁준(1997 15-18)을 참고하기 바란다. 본고는 그 가운데 臻 山攝을 중심으로 알아 본다.
1.2. 等韻의 음운 체계 3. 본론
2.1. 侵寢沁緝韻 參考文獻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함 /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설명
무릇 음이 같고 다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같고 다름이 있으며 사람이 같고 다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이 같고 다름이 있는데 지세로 구별되어 풍속과 기운이 다르며 풍속과 기운이 다르니 호흡이 다르다. 이로써 문궤는 통하나 음이 다르게 된 것이다. 동남 지방의 입술이나 이 소리와 서북 지방의 볼이나 목구멍 소리가 곧 그것이다. ≪正韻≫의 저술 목적은≪正韻≫ 序文에 나타나 있따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深攝 음운 체계 비교 權 赫 埈 ...
2.2. 覃感勘合韻
순서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함 /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1.1. 연구 목적 및 방법
Download : 동국정운과 고금운회거요의 함.hwp( 37 )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深攝 음운 체계 비교 權 赫 埈
1. 서론 2.3. 鹽琰艶葉韻
1. 서 론
다. 하물며 우리 동방의 나라는 안팎으로 산하가 자연히 한 구역을 이루어 풍속과 기운이 이미 中國과 다르니 호흡이 어찌 中國과 같을 수가 있을...
1.1. 연구 목적 및 방법 2.4. 咸 陷洽韻
2. 본론 일러두기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咸 深攝 음운 체계 비교 權 赫 埈 ...





目 次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본고는 中國 元代의 韻書인 ≪古今韻會擧要≫(1297년 편찬, 이하 ≪擧要≫로 간칭)와 朝鮮 시대 韻書로 ≪擧要≫의 체제를 답습한 ≪東國正韻≫(1448년 간행, 이하 ≪正韻≫으로 간칭)의 음운1) 체계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